지역 곳곳 이민사기념 행사… 市, ‘재외동포청’ 유치 온힘
‘유럽한인문화타운’ 조성 탄력… “한인 이민사의 중심 도시로”

image

6일 인천 중구 한국이민사박물관을 찾은 시민이 이민자들의 생활상을 살펴보고 있다. 김지혜기자

③인천 디아스포라 거점…한국이민사박물관 중심 한국이민사 선점

인천이 한인 이민사인 ‘코리아 디아스포라’의 거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그 중심에는 전국 최초의 한국이민사박물관이 있다.

6일 인천시 등에 따르면 지난 1902년 이민 역사의 출발지인 역사를 토대로 지역의 정체성을 ‘한국 이민사의 관문 도시’로, 더 나아가 ‘재외동포 환대의 도시’로 확장하고 있다. 인천은 역사적으로 하와이 첫 이민자 102명이 시작한 도시이자, 현재 공항과 항만을 중심으로 한 관문도시다. 이후 곳곳에 들어선 국가산업단지를 중심으로 이주노동자가 유입한 뒤 유학생과 결혼이주여성까지 자리잡아 현재는 13만843명의 외국인이 살고 있다. 인천 인구 296만3천117명(8월 기준)의 4.4%에 달한다.

연수구 함박마을을 중심으로 고려인들이 자리를 잡고 있고, 남동구 논현동에는 사할린 강제이주 피해자 400여명이 영주귀국을 선택해 모국에서 여생을 보내고 있다.

특히 시는 최근 유정복 시장이 ‘재외동포청 유치’라는 목표를 내걸면서, 본격적인 코리아 디아스포라의 거점 도시로 도약을 준비 중이다. 이를 위해 시는 이민사 120주년을 맞아 지역 곳곳에서 기념 행사는 물론 재외동포청 유치에 나서며 인천을 ‘재외동포 환대의 도시’로 그리고 있다.

재외동포청은 외교부의 재외동포 관련 정책 기능을 이관 받아, 재외동포재단의 사업 기능을 함께 수행할 새로운 정부 기관이다. 재외동포청은 재외동포·단체 교류와 협력, 네트워크 활성화 및 차세대 동포교육과 문화홍보사업 등을 맡는다.

앞서 시는 지난달 4~7일 송도국제도시 송도컨벤시아에서 재외동포 사회의 가장 큰 네트워크 행사인 ‘2022 세계한인회장대회’를 열며 재외동포청 인천 유치의 당위성을 높이고 재외동포 정책에 대한 밀도 높은 논의를 하기도 했다.

특히 시는 이달까지 한국이민사박물관을 중심으로 열고 있는 특별전과 기념행사를 열며 ‘코리아 디아스포라’를 기념하고 있다.

여기에 시는 송도국제도시 내 재미동포가 정착할 수 있도록 아메리칸타운을 조성한데 이어 이제는 유럽한인문화타운의 조성도 계획하고 있다. 유럽에 살고 있는 재외국민들의 귀환 거주를 지원하고, 유럽의 소상공인들의 점포도 유치하겠다는 것이다.

유 시장은 “인천은 공항·항만·경제자유구역 등 세계적인 인프라를 가지고 있는 국제도시”라며 “인천이 한인 이민사를 중심으로 세계의 한인이 모인 세계적인 도시로 거듭 날 것”이라고 했다.

한편, 전 세계에 살고 있는 재외동포는 약 750만명에 달한다. 이들은 대한민국 국민이지만 외국에 장기체류하거나, 외국의 영주권을 취득한 사람이기도 하고, 국적에 관계 없이 한민족(韓民族)의 혈통을 지닌 사람으로 외국에 거주·생활하는 사람을 뜻하기도 한다.

image

6일 인천 중구 한국이민사박물관을 찾은 한 시민이 한인 최초 하와이 이민자들의 발길을 재조명한 안내문을 살펴보고 있다. 김지혜기자

한국이민사박물관 세계 곳곳 뿌리내린 ‘한인 여정’ 한눈에…

“인천 제물포에서 한인 이민이 시작했다니, 놀랍습니다.”

6일 인천 중구 월미도에 있는 한국이민사박물관 2층 상설전시관. 딸의 손을 잡고 감상하던 이충현씨(37)는 지난 1902년 12월22일 인천 제물포에서 하와이로 떠난 이민자 102명의 여정을 담은 유물들을 한참을 바라본다. 이씨는 1번째 전시실인 ‘미지의 세계’내 수 많은 이민자들의 이름을 바라본다. 이곳에는 하와이 이민을 모집했던 이민모집문과 이민자들이 사용한 물통과 도시락, 사진들이 전시해 있다. 이씨는 “인천에 살고 있는데, 이민의 역사 시작이 이 곳인지 잘 몰랐다”며 “딸 덕분에 제가 공부를 했다”고 했다. 이어 “지금도 이민은 엄청난 용기가 필요한 선택인데, 당시 이민을 갔던 조상들의 마음이 어땠을 지 가늠할 수 없다”고 했다.

박물관에 따르면 지난 2008년 문을 연 국내 최초의 이민사 박물관이다. 이곳 상설전시관에는 하와이 이민부터 멕시코, 사할린 동포들의 강제이주에서 더 나아가 파독 광부와 간호사, 농업이민과 해외입양까지 다루고 있다. 상설전시실 4개에 총 158건과 218점의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이 밖에도 총 6천128건의 1만7천66점의 이민 관련 자료를 보유하고 있다.

앞서 시는 지난 2003년 인천 제물포에서 시작한 하와이 이민 역사 100주년을 기념해 박물관 건립을 추진했다. 같은해 11월 건립추진위원회를 만들고, 이듬해인 2004년 5월 박물관 건립 타당성 용역을 시작으로 2006년부터 본격적으로 공사 절차를 밟았다. 시는 1902~1960년까지 여권과 편지, 일기, 신문, 이민관련 사진, 앨범, 녹음 등 유물을 모았다.

박물관의 ‘미지의 세계로’ 제목의 1전시실에는 인천 제물포에서 시작한 하와이 이민 과정을 다루고 있다. 이어 2전시실과 3전시실의 주제는 각각 ‘극복과 정착’과 ‘국경을 넘어 세계로’라는 주제로 타지에서 꽃 피운 디아스포라의 삶과 쿠바와 멕시코, 파독 광부 등 다양한 국가에서 역사를 만든 코리아 디아스포라를 담았다. 이어 마지막인 4전시실에는 ‘세계 속의 대한인’이라는 주제로 인하대학교 설립 운동과 더불어 740만명의 재외동포들의 삶을 조명한다.

특히 박물관은 지난 2016년 종전 하와이와 멕시코 이민 위주였던 전시실에서 해외 입양까지 함께 포함하면서 ‘코리아 디아스포라’의 정체성 외연을 확대했다. 현재 이곳에는 하와이로 출발한 102명의 역사부터 사할린 강제이주 피해자와 남미의 농업이민, 파독 광부와 간호사, 6·25 전쟁 고아들의 해외 입양까지 다루고 있다.

김상열 박물관장은 “2층은 미국 대륙을 중심으로 두고, 1층을 중국과 일본 등 다양한 이민 역사와 해외입양 등까지 범위를 확대했다”고 했다. 이어 “이젠 포용의 도시, 이민자의 도시, 디아스포라의 도시인 인천에 더욱 어울리는 형태의 박물관”이라고 했다.

image

6일 오후 1시 인천 중구 한국이민사박물관을 방문한 관람객들이 ‘코리아 디아스포라’의 삶을 표현한 전시실을 둘러 보고 있다. 김지혜 기자

‘코리아 디아스포라’ 박물관을 벗어나 일상 속으로

인천의 ‘코리아 디아스포라’ 정체성이 박물관을 벗어나 일상 곳곳으로 퍼지고 있다. 인천시는 ‘인천영상위원회’를 통해 지난 2012년부터 ‘디아스포라 영화제’를 개최하는 등 디아스포라의 삶을 다양한 매체를 통해 접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6일 시와 인천영상위원회 등에 따르면 해마다 5월께 열리는 인천 디아스포라 영화제는 올해 10주년을 맞았다. 시가 지난 2012년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무지개다리 사업’의 국비 후원을 받아 처음 시작한 ‘디아스포라 영화제’는 명실상부한 인천의 대표 영화 축제로 자리잡았다.

앞서 시는 당초 인천이 한국 최초의 이민이 시작한 도시이며, 이민자들의 소외를 해결하고, 다양성과 관용의 가치를 나누기 위해 디아스포라 영화제를 구상했다. 초창기 단편 상영회로 시작한 영화제는 올해 이민의 역사와 디아스포라 삶을 주제로 한 국내·외 장편영화 60편을 상영할 수 있도록 자랐다.

시는 올해 영화제를 통해 인천 지역의 선주민과 이주민의 교류를 위해 ‘청소년 미디어 캠프’와 ‘비평 워크숍’ 등 다양한 교류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시는 디아스포라 영화제를 통해 포용과 환대의 도시 정체성을 구체화 하는데 목표로 두고 있다.

이진선 인천영상위 매니저는 “인천은 근대부터 문호개방의 중심이자 이민과 이주의 정체성을 가진 도시다”고 했다. 이어 “디아스포라 영화제 1회의 참가자가 100명 안팎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올해 참가 인원이 1만2천명에 달하는 등 명실상부한 인천의 대표 영화제로 자리 잡았다”고 했다.

또 시는 디아스포라 영화제를 비롯해 다양한 전시 행사도 추진하고 있다. 시는 아트플랫폼에 ‘한지로 접은 비행기’라는 주제의 재외동포 예술가들의 전시 중이다. 시는 중구 아트플랫폼B동에서 세계 각국에서 활동하는 12개국의 작가 23명의 회화, 영상, 사진, 조각, 미디어 설치 등 40여 점의 작품을 전시하고 있다. 시는 이들의 작품을 통해 이민자들이 타국에서 부딪히는 정체성 문제와 디아스포라에 대한 다층적인 의미를 전달하고자 계획했다.

특히 시는 한국이민사박물관과 함께 인천 제물포에서 시작한 이민역사 120주년을 기념해 ‘그날의 물결, 제물포로 돌아오다’라는 특별 사진전도 하고 있다. 부대행사로 하와이 이민자 다큐멘터리 영화인 ‘무지개 나라의 유산’의 감독과 관객이 이야기 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하기도 했다.

이 밖에도 시는 한 방송사와 함께 ‘120년 기행, 코리아 디아스포라 의 꿈’이라는 TV방송프로그램 다큐멘터리 제작을 통해 ‘포용의 도시 인천’에 대한 관심과 함께 이민의 역사와 다층적 이민의 의미를 탐구할 수 있는 특별전시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인천이 디아스포라의 도시라는 점을 단순히 이민사 박물관 뿐 아니라 일상의 다양한 기관을 통해 실현하고 있다”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디아스포라 영화제”라고 했다. 이어 “디아스포라 영화제를 통해 관문 도시가 가질 수 있는 여러 사회적 문제를 문화적으로 해결하고, 포용과 환대의 도시로 나아갈 수 있기를 바라고 있다”고 했다.

인터뷰 고서숙 인천시 하와이 국제자문관 “이민 선조들의 희생·헌신… 후세에 알리기 위해 최선”

image

“미래 세대에게 이민 선조들의 희생과 헌신을 알리는 맡은 바 소임을 다하겠습니다.”

고서숙 인천시 하와이 국제자문관(71)은 24년 동안 인천과 하와이를 오가며 해온 활동에 대해 이렇게 평가했다. 고 국제자문관의 손길은 인천의 ‘코리아 디아스포라’ 발걸음의 곳곳에 묻어 있다. 그는 황해도에서 태어났지만, 6·25전쟁으로 출생 7개월 만에 인천에 자리 잡는다. 고 국제자문관은 인천교대 부속 초등학교와 인천여고를 진학하고, 서라벌예술대학(현 중앙대학교)으로 미술 학도의 꿈을 키웠다. 그러다 그는 1973년 결혼과 동시에 하와이 이민을 결심한다.

남 부러울 것 없이 자랐던 그가 마주한 미국 이민 현실은 차가웠다. 미국의 물가는 한국에 비교해 2~3배는 높았고, 한국에서 남 부러울 것 없이 자랐던 그는 밥벌이를 위한 ‘일’에 뛰어 들어야만 했다. 그렇게 그는 아픈 남편을 대신해 어릴 적 배운 만두를 빚고, 목걸이를 만드는 부업을 시작한다. 그는 빠른 손놀림과 특유의 성실함으로 가정을 이끌고, 사업체를 이끄는 유명 사업가로 변신한다.

고 국제자문관은 “사업가로 일을 하다보니, 좋은 것을 자주 보고, 경험할 수 밖에 없다”며 “그때만 해도 어려웠던 대한민국을 늘 생각할 수 밖에 없었다”고 했다. 이어 “그 마음이 항상 깊숙한 곳에 있다보니, 국제자문관 역할이라는 제안이 왔을 때 흔쾌히 함께 할 수 있었던 것”이라고 했다.

그는 2003년 안상수 전 인천시장이 하와이에 방문해 한국이민사박물관에 대한 구상을 제안하면서 본격적으로 국제자문관 역할에 뛰어들었다.

고 국제자문관은 2003년부터 이민사박물관이 개관한 2008년까지 유물 수집과 기증에 앞장섰다. 현재 한국이민사박물관에 전시해 있는 이민자 유품의 80%는 고 국제자문관 손을 거친 것들이다. 또 그는 인천시와 하와이 호놀룰루시의 자매결연을 맺는 데에도 역할을 했다. 고 국제자문관은 2003년부터 현재까지 문화 공연 기획과 유치, 국제교류와 국제미술전 등 두 도시의 문화·경제 교류를 위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특히 그는 호놀룰루시에 있는 ‘인천-하와이 공원’ 인하공원을 조성하는 데 큰 역할을 하기도 했다. 현재 그가 이사장인 고송문화재단은 2015년부터 인하공원의 관리 책임을 도맡아 하고 있다.

고 국제자문관은 “이민 역사의 시작이 인천 제물포인데도 불구하고 하와이에 이를 기념할 곳이 남아있지 않은 것이 마음에 걸렸다”며 “인하공원의 존재로 이민 역사를 알릴 수 있다는 것이 뜻 깊다”고 했다.

이 밖에도 그는 미래 세대를 위해 하와이 이민 역사를 남길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기도 했다. 그는 최근 그가 경험한 이민 사회를 그림동화책으로 엮은 ‘THE JOURNEY FOR RAINBOWS’를 출판하기도 했다. 그는 오는 12월에는 인천시와 고송문화재단이 함께 주최·주관하는 하외이 이민 출발 120주년 기념행사도 계획하고 있다.

고 국제자문관은 “하와이 이민 역사 속의 선조들의 마음을 가늠할 수 없고, 잊을 수도 없다”며 “제가 하는 일로 대한민국의 발전과 역사에 이민 선조들의 애국정신과 헌신을 기억할 수 있다면 끝까지 맡은 소임을 다하고 싶다”고 했다.

김지혜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이전 기사SSG 오늘 한국시리즈 3차전…승리하면 우승 확률 90%
다음 기사[포토뉴스] ‘800번의 가을’… 황금빛으로 물든 은행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