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3년 여객 수용 포화 전망, 자칫 日 나리타 반사이익 우려
인천경실련 “적기에 추진해야”… 대선 주자들 신속 실행 요구

‘인천공항 5단계 확장’ 발등에 불… 대선공약 촉구

인천 중구 영종도 인천공항 제1여객터미널 입국장이 여행객들로 북적이고 있다. 경기일보DB

인천국제공항의 여객 수용이 오는 2033년이면 포화에 이를 것이란 예측이 나오는 가운데, ‘인천국제공항 5단계 확장사업’을 서둘러 추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인천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7일 논평을 통해 “인천공항 여객 포화에 대비해 제21대 대선 후보와 인천 정치권은 ‘인천공항 5단계 확장사업 적기 추진’을 공약에 담고 빠르게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인천국제공항공사의 ‘포스트 코로나 등 환경변화에 따른 인천공항 중장기 개발전략 재정비 용역’ 결과, 오는 2033년 인천공항의 연간 여객 수는 1억1천100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여객 수용 능력인 1억600만명 규모를 넘어서는 수치다. 특히 인천공항이 포화 상태에 이르더라도 그 낙수효과는 일본 나리타공항, 싱가포르 창이공항 등 경쟁국 국제공항으로 넘어갈 것이란 우려가 높다.

이에 인천경실련은 오는 2033년 여객 수용 포화를 대비해 ‘5단계 확장사업’을 조속히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5단계 확장사업은 현 화물터미널 부지에 제3여객터미널을, 골프장 자리에는 제5활주로를 건설하는 사업이다. 이를 마치면 연간 1억3천만명의 여객을 수용할 수 있으며, 스마트 여객 처리 기반까지 갖추면 1억6천만명 이상 수용이 가능하다.

그럼에도 정치권에서는 가덕도신공항 등 대규모 신설 공항의 승객 유치 및 건설 비용 마련 등을 이유로 5단계 확장사업에 부정적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인천 경실련은 비판했다. 인천 경실련은 “여객 수용 능력이 높을수록 항공편을 개설하려는 항공사가 늘어나 국제공항의 ‘허브화’가 유리하다”며 “공항 정책이 정치 논리에 따라 결정되면 인천공항의 국제 경쟁력은 끝없이 추락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우리나라 항공정책을 바로 세우기 위해서는 대한민국 중추공항인 인천공항을 중심으로 한 ‘One-Port’ 공항 정책을 펼쳐야 한다는 주장이다. 김송원 인천경실련 사무처장은 “인천공항을 중심으로 한 One-Port 공항 정책은 동북아시아 허브화 전략의 일환”이라며 “제21대 대선 후보와 정치권은 무분별한 대규모 신규 공항건설 공약이 아닌 ‘인천공항 5단계 확장사업의 적기 추진’을 반드시 공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이전 기사인천시, 추경 국고보조금 359억 확보…지역사랑 상품권 300억원 등